Morning Sun Café.net - 아침해 카페

        

 

우리나라의 민주주의 역사는

유럽에 가면 거대한 성당건물을 보고 입을 다물 수 없는 감동을 느낀다. 이것은 인간의 작품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하느님이 인간의 손을 빌어 지은 걸작이다. 성베드로 성당, 톨레도 성당, 노테르담 성당, 쾰른 성당, 바르셀로나의 미완성인

聖가족성당(가우디 설계), 스트라스부르흐 성당 등은 최단 200, 최장 800년이 걸려 지은 성당들이다.

오랜 세월에 걸쳐 지은 성당에는 여러 건축양식이 다 들어 있다. 고딕, 로마네스크, 르네상스, 바로크 등등 여러 양식의 부분 부분들이

하나의 종합된 예술품으로 서 있으니 더 감동적인 것이다. 역사의 기복과 문화의 나이테를 눈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유럽의 오랜 성당들은 인류의 문화유산으로 골동품이나 구경거리로 거기에 서 있는 것이 아니다.

지금도 살아 있는 예배당으로 쓰인다. 유럽사람들은 역사속에서 그 역사를 호흡하면서 오늘을 살고 있다.

민주주의를 그러한 성당건물에 비교해본다. 민주주의 국가를 건설하는 것은 그런 성당을 짓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다.

더 많은 세월과 더 많은 시행착오와 더 많은 희생이 필요하다. 그리스의 직접 민주주의 시대까지 거슬러오른다면

오늘의 서구식 민주주의 역사는 약2500년이나 된다. 1215년 영국의 마그나 카르타(대헌장)까지 올라가도 약800년이다.

이 오랜 기간에 민주주의는 갈之를 그리면서 서서히 발전해왔다.

민주주의는 특권층의 것으로 출발했다. 귀족과 시민만이 누리던 민주주의가 평민과 여성, 그리고 흑인 등 소수민족에까지

확산된 것은 최근 100년 사이이다. 유럽에서 평화적 정권교체의 전통이 확립된 것도 최근이다.

영국의 경우는 17세기말 명예혁명 이후이고 프랑스는 1871년 제3 공화국 이후이며, 독일은 1945년 이후이고,

前 동구공산권 나라들은 1989년 이후이다. 민주주의란 나무는 애국자와 독재자의 피를 먹고 자란다고 하는데

무엇보다도 시간을 더 많이 먹고 자란다.


우리나라의 민주주의 역사는 1948815일 건국으로부터 출발한다. 민주주의는 국가라는 그릇이 없으면 담길 수 없는 보물이다.

국가 없는 민주주의란 종이위에 쓰여진 학설일 뿐이다. 李承晩 대통령은 미국과 유엔의 지원을 끌어내어 대한민국을 세우고

반역공산집단의 기습으로부터 이 신생아 같은 어린 나라를 구했다. 건국과 호국을 주도한 李承晩 대통령이야말로

한국 민주주의 발전사의 첫장을 연 분이다. 우리가 그를 건국 대통령이라고 부를 때 그 의미는 국민국가를 세운 분,

즉 민주주의 건설 대통령이라는 뜻이다. 국민이 자유민주주의의 기치 아래서 정권을 선택하고 국회의원을 뽑는 국민국가를

출범시켰기 때문에 그 뒤 수많은 기복이 있었지만 우리는 민주주의 원칙이란 운전대를 놓지 않고서 여기까지 온 것이다.

같은 시기 북한의 金日成은 소련이 써주는 시나리오대로 반역집단을 세워 남쪽의 정통국가를 위협하기 시작했다.

우리는 민주주의의 전통이 전무한 가장 척박한 토양에서, 그것도 생존의 위협속에서 민주주의라는

나무를 키워내야 하는, 아니 살려내어야 하는 고난의 행군을 시작한 것이다.

李承晩, 이 분의 어느 시기 행태를 과장하여 그를 독재자로 모는 것만큼 가혹하고 배은망덕한 일은 없을 것이다.

李承晩 대통령을 독재자로 모는 이들의 논리적 근거는 그가 서구식의 완벽한 민주주의를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는 聖베드로 성당을 왜 10년만에 다 짓지 않고 수백년이 걸렸느냐고 욕하는 것과 같은 망발이다. 聖베드로 사원의 주춧돌을

놓는 역할을 맡은 건축가에게 왜 건물을 다 짓고 돔까지 올리지 않았느냐고 채찍질을 한다면 이는 이 건축가가

하느님이 못되었다고 욕하는 격이다. 李承晩 대통령이 하나님이 되지 못했다고 욕하는 자들은

이상하게도 하느님을 참칭한 金日成에 대해선 욕 한 마디 하지 않는다.

李承晩 대통령은 역대 대통령 가운데 朴正熙 대통령과 함께 민주주의 발전에 큰 공을 세웠다.

이분이 민주주의 건설에 악영향을 끼친 부분은 공에 비교하면 작다. 민주주의 건설은, 대성당을 짓는 것보다

훨씬 더 어려운 일인데 李대통령은 그 기초공사를 한 분이다.
그는 우선 자유진영 편에 이 나라를 줄세웠다. 李박사와 미국의 도움이 없었더라면 한국은 공산주의 세상이 되어

1990년대엔 북한처럼 수백만 명이 굶어죽었을 것이다. 자유진영은 선진국이다. 후진국이었던 한국은 선진국으로부터

민주주의 하는 방법과 시장경제 하는 방법과 군대를 운영하는 방법과 과학기술을 배웠다.

반면, 북한의 김일성은 이 지구상에서 가장 악질적이고 무능한 나라의 정권들과 친구가 되어 거짓말하고

학살하며 독재하는 방법을 배웠다. 이것이 남북한의 오늘날 차이를 불렀다.

후진국이 민주주의를 하려면 우선 농사짓지 않는 특권계급으로서의 地主를 없애는 농지개혁을 해야 한다.

이것이 되지 않는 나라에서 민주주의를 하면 地主는 수구기득권세력이 되고 농민들은 불만세력이 된다.

여기에 공산주의나 이슬람 원리주의가 파고들어가면 항구적인 체제갈등이 생긴다. 南美의 대부분, 필리핀, 그리고 파키스탄이

대표적인 경우이다. 李承晩 대통령은 지주출신 정치세력의 반발을 꺾고서 6.25 남침 직전에 농지개혁을 단행했다.

만약 6.25 남침 때 남한의 대부분을 점령한 북한군이 지주로부터 농토를 빼앗아 소작농에게 나눠주었다면

국군과 유엔군이 북진할 때 이들은 농토를 빼앗기지 않으려고 북한군 편에 서서 국군에 대항해 싸웠을 것이다.

농지개혁은 민주주의의 토대를 놓았을 뿐 아니라 민주한국을 지켜냈다.

李承晩 대통령은 6.25 휴전과정에서 미국을 협박하다시피해가면서 한미상호방위조약을 맺었다.

이에 근거한 한미군사동맹은 지금까지도 한반도의 평화, 한국의 안전과 번영을 보장해준 울타리요 우산 역할을 하고 있다.

韓美동맹은 또 미국이 깔아놓은 세계의 무대에 한국인이 등장하여 수출도 하고 투자도 하며 이민도 갈 수 있는 활동공간을 제공했다.

한국인은 자유진영의 지도국인 미국의 血盟이란 보증하에서 세계로 진출할 수 있었다.
민주주의는 안보가 불안하면 절대로 필 수 없는 꽃이다. 한미동맹을 만든 李대통령은 민주주의가 작동할 수 있는

그 울타리와 우산을 만든 것이다. 이런 분을 독재자라고 부르고 한미동맹을 와해시키려는 戰犯세력을

평화, 민족세력이라고 부르는 작금의 한국내 좌파세력이야말로 민주주의 파괴세력이다.

민주주의는 교육받고 먹고 살 재산이 있는 중산층이 적어도 국민의 반 이상이 될 때 제대로 기능할 수 있다.

李대통령은 전쟁중에도 교육을 중단하지 않았고 대학생에게는 현역복무를 면제해주면서까지 人材육성에 주력했다.

더구나 그가 가르친 것은 독재에 순응하라는 가짜 주체사상이 아니라 독재에 항거하라는 민주주의 윤리였다.

이 교육을 李정권 때 받았던 학생들이 1960 4.19 학생의거의 주력이 되었다.

이 세상에 자신을 타도하라고 가르치는 독재자도 있는가.
더구나 李대통령은 학생들이 시위진압에 희생되는 것을 보고는 스스로 물러났다.

4.19 때 학생들은 선거를 다시 하자고 했지 '이승만 물러나라'는 구호는 거의 나오지 않았다.

퇴진요구도 없는데 스스로 평화적으로 물러난 사람은 독재자가 아니다.

李承晩 대통령이 발췌개헌, 3선개헌을 무리하게 추진한 것은 사실이다.

그의 집권 시절 경찰과 특무대가 야당을 탄압한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李대통령은 자유민주주의의 근간인 언론의 자유, 선거의 자유를 근본적으로 파괴, 봉쇄하려 하지는 않았다.

6.25 남침을 당해서 전쟁중인 나라에서도 국회는 활동했고 대통령을 몰아내려고 했으며

언론은 군대와 정권의 비리를 폭로했고 선거도 중단되지 않았다.

李대통령은 좌익들까지 지도자로 모시려고 했던 위대한 독립투사였다. 그는 초대내각에서 친일파를 한 명도 쓰지 않았다

(반면 김일성은 자신의 편에 선 친일파를 비호했다. 그의 동생 金英柱는 日軍의 통역을 한 사람인데도 제2인자가 되었다).

李대통령이 일제 때의 경찰관과 공무원들을 중용한 것은 일본을 좋아해서가 아니었다.

일제 때 국가운영에 참여하여 배운 기술을 가지고 조국을 위해 쓰도록 했던 것이다.

일제 경찰관 출신들이 李정권의 수사기관에 들어가 억울한 사람들을 많이 만드는 고문수사를 한 것도 사실이다.

이런 일은 지금까지도 계속되는 한국 수사관들의 과잉충성과 법치무시 체질 때문이지 李박사에게 모든 책임을 씌울 수는 없을 것이다.

관리가 백성들을 뜯어먹고 사는 것이 전통처럼 되었던 조선조 관료의 체질과 일제의 탄압체질을 지도자 한 사람의 책임으로써

바로잡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세상을 순진하고 낭만적으로 보는 분들이다.

이렇게 본다면 李대통령이 민주주의의 간판을 걸고 북한과 생존투쟁을 하면서도 그 원칙을 고수해가려고 苦鬪한 데

우선 감사를 드리고 그분의 실수를 지적하는 것이 옳은 태도일 것이다. 민주주의를 위해 일한 부분이 90%라면

민주주의의 발전을 저해한 부분은 10% 정도일 것이다. 그렇다면 80%의 긍정이 남지 않은가. 그런 분을 독재자라고 불러

그분의 모든 업적을 말 한 마디로 무효화시키려 드는 것은 그 시대를 살았던 한국인 전체에 대한 모독이자 역사에 대한 명예훼손이다.

건국, 호국의 시대가 독재자의 시대였단 말인가. 그 시대의 국민들은 독재자에게 모두 굴종하였단 말인가.

아니면 독재자 한 사람의 잘못을 국민들이 다 잘해서 나라가 이렇게 발전했단 말인가.

李대통령 시대는 나라를 세우고 나라를 지켜냈을 뿐 아니라 그 뒤 朴대통령이 성공적으로 나라를 근대화시킬 수 있는

울타리와 바탕과 우산을 마련했던 고난의 시절이자 영광의 시대였다. 이 시대의 功過는 대통령과 국민들이 나눠가져야 한다.

功의 가장 큰 부분과 過의 가장 큰 부분은 물론 李박사의 몫이다.


---------------------------------------------


朴正熙 대통령을 독재자라고 부르는 것도 과학적이지 않다. 李대통령은 민주주의 건국의 성공모델을 만든 분이고

朴대통령은 제도정비와 경제발전을 통해서 민주주의 국가가 작동할 수 있는 물질적 토대, 즉 엔진과 보디를 만든 분이다.

다시 말하면 민주국가로 나아가는 국가번영의 세계적 성공모델을 만든 지도자이다. 朴대통령의 민주주의에 대한 공헌에 대해서는

鄭東泳 장관도 사실상 인정했다. 그는 盧정권의 對北식량지원이 북한동포들을 굶주림에서 구해주는 인권향상 행위라고 정의했다.

바로 朴대통령이 한국인들을 굶주림에서 구출했으니 최대의 인권향상을 일으킨 사람이다. 인권을 결정적으로 높인 사람을

독재자라는 한 마디로 부정할 수 없다는 것은 집권세력이 뒤늦게나마 알게 된 모양이다.
朴대통령의 민주주의 건설에 대한 기여에 대해서 필자는 3분의 2 민주주의라는 말을 한다. 민주주의는 외양이고

그 속은 안전, 복지, 자유이다. 朴대통령은 안보를 튼튼히 하고 경제를 발전시켜 안전과 복지를 확보했으므로 3분의 2 민주주의를 한 것이다.

안전과 복지가 확보되면 인간은 자유를 희구하게 된다. 朴정권에 대항해서 그 자유를 요구했던 소위 민주화 세력은 3분의 1 민주주의를 한 셈이다.
朴대통령의 민주주의에 대한 기여에 대해서는 외국인의 평가를 나의 견해로 삼아 대신 소개한다.

윌리엄 H. 오버폴트가 쓴 「중국의 부상(浮上)(The Rise of China. Norton. 1993)이란 책은 한때 카터 선거캠프의 참모였고

反韓的인 생각에 빠져 있었던 저자가 朴正熙의 한국을 재평가하면서 개도국의 근대화와 중국의 변화를 바라보는 눈이 바뀌게 된 과정을

흥미롭게 설명하고 있다. 이 책에서 오버홀터씨는 중국의 근대화 전략이 朴正熙 모델을 따르고 있다고 하면서

자신이 왜 朴正熙식 개발전략의 정당성에 설득당하게 되었나를 고백한다.

이 책 집필 당시 홍콩의 미국 금융회사에서 국제정세 분석가로 일하고 있던 그는 하버드 대학을 졸업하고

마틴 루터 킹 목사를 추종하는 민권운동가로 활약했고 에즈라 보겔 교수의 권유를 받아 하버드에서 중국문화대혁명을 연구했다.

그는 문화대혁명을 연구하면 할수록 엄청난 규모의 학살에 대해서 알게 되었고 이 문제를 하버드에서 제기해 보아도

毛澤東 신봉자들이 강단의 주도권을 잡고 있었던 당시 분위기 때문에 비판만 받았다고 했다.

예일대학원을 졸업한 그는 허드슨연구소에서 일하게 되었는데 소장은 유명한 미래학자 허먼 칸이었다.

그는 한국의 근대화 정책을 높게 평가하고 있어 젊은 오버홀터씨와는 자주 논쟁을 벌였다고 한다.

오버홀트씨는 그러다가 1970년대 중반에 한국을 방문하고 새마을 운동이 한창이던 농촌을 구경할 수 있었다.

이때의 충격을 그는 이 책에서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가장 악독한 독재자로 알고 있었던 朴正熙 정권이 농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아주 효율적으로 국가를 근대화하고 있는 모습은,

그가 필리핀에서 목격한 한심한 미국식 근대화와는 너무나 달랐다. 이 경험이 계기가 되어 그는 아시아의 권위주의적 정부를 바라보는

미국학자, 정치인, 기자들의 위선적이고 도식적인 관점에 회의를 느끼게 되었다는 것이다.

1976년에 그는 카터 후보의 선거참모로 들어가 對아시아정책 그룹을 이끌게 되었다. 한국을 방문한 뒤 생각이 달라진 그에게 있어서는

서구식 우월의식으로 꽉 찬 카터 진영의 참모들이 철없는 사람들로 비쳐졌다. 그때 카터 진영에서는 駐韓미군의 철수를 공약함으로써

독재정권을 응징하는 인권외교의 챔피언으로서 카터의 이미지를 조작하려고 했는데 이게 오버홀터에게는 바보짓으로 보였다.

그는 미국식 인권개념을 한국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역사와 문화의 발전단계 차이를 무시한 미국식 오만으로 보았다.

이 경험 때문에 그는 19896월의 천안문 사건 이후 중국의 인권문제와 중국에 대한 최혜국 대우를 연계시키려는

미국의 정책을 비판적으로 보게 되었다고 한다. 그는 이렇게 쓰고 있다.

「서구 이념의 사기성은 정치발전은 항상 경제발전보다 선행(先行)하거나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고

아시아의 권위주의 지도자들의 사기성은 정치적 자유화 없이도 경제적 자유화가 무기한 계속될 수 있다고 믿는 것이다」

「세계의 현대사를 아무리 뒤져보아도 후진국가가 민주화를 먼저 하고 나중에 경제발전을 하는 식으로 현대적 시장경제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이룩한 나라가 없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실패한 모델은 서구의 학자들과

언론으로부터 칭찬을 받아왔고 서구의 원조를 받아왔다. 이런 원조는 정문으로 들어가자마자 뒷문으로 빠져나가 버려

자본의 도피만 발생할 뿐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태평양 연안 아시아 국가들의 경우에는 먼저 권위적 정부가 들어서서

근대적인 제도를 만들고 경제를 자유화하며 교육받은 중산층을 만들어낸다.

그러면 정치지도자들이 정치적 변화를 원하든 원치 않든 자유와 민주주의가 등장하게 된다

이 책에서 오버홀트는 후진국이 서구식 민주주의를 하려고 하면 실패할 수밖에 없는 세 가지 이유를 들었다.

첫째, 후진국엔 인기주의적 선동으로부터 국익을 지켜낼 수 있는 강력하고 현대화된 국가기구가 존재하지 않는다.

둘째, 후진국엔 농지개혁이나 국영기업의 사유화 같은 개혁을 저지하는 기득권 세력은 강하나

이를 극복하고 추진할 국가주의 세력은 약하다.

셋째, 후진국엔 분별력을 갖춘 교육 받은 중산층이 약하다.

오버홀트는, 이 세 가지를 합쳐서 후진국에서 민주주의의 정착을 불가능하게 하는 문제를

'인기주의의 장벽'(Populist Barrier)라고 이름지었다. 오버홀트는 朴正熙가 바로 이 포퓰리즘을 꺾고

민주주의로 가는 제도와 중산층과 국가적 개혁을 이룩한 사람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집권하자말자 군사비를 삭감했다. 북한의 위협이 있음에도. 이런 일은 민간 정치인들이 절대로 할 수 없는 것이다.

朴대통령은 적대관계에 있던 일본과 수교했다. 이것도 유권자들로부터 지지를 받을 수 없는 일이었다.

그는 사회주의적 경향이 강하고 외국인 혐오증이 심한 군중심리를 누르고 외자유치와 무역을 장려했다.

그는 수출을 지원하기 위하여 환율을 인하했다. 이는 南美의 정부라면 할 수 없는 조치이다. 이 나라들의 지배층은

과대평가된 환율을 이용하여 사치품을 수입하고 외국에서 부동산을 사재기하기 때문에.
朴대통령은 외국인의 투자를 환영하고 원자재와 기계류에 대한 관세를 내려 한국기업의 경쟁력을 높였다.

이런 개혁은 사회주의적 성향의 지식인과 과보호에 안주하는 기업인으로부터 동시반발을 살 수 있는 일이라

민주주의를 채용하는 開途國에서는 불가능한 것이다.


朴正熙는 현대식 국가기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한국군은 미군보다도 더 효율적인 집단이 되었다.

그는 무능하고 부패한 장관과 은행가들을 추방하고 연구소를 만들어 미국에서 공부한 학자들을 초빙했다.

그는 이들이 고위 관료가 되도록 하여

세계에서 가장 능률적이고 날씬한 정부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에 반해 미국식 민주화를 추진한 필리핀의 아퀴노 대통령은

지지자들의 청탁을 받아 공무원들을 임명하다가 보니 정부는 커지고 효율성은 떨어졌으며 유능한 장관들은

집단이기주의의 희생물이 되었다. 朴대통령의 개혁이 그가 원하지 않았던 민주화의 조건들을 만들어놓았다>

1970년대에 한국에서 벌어지고 있었던 감동적인 박정희식 근대화를 현장에서 목격한 오버홀트는 동아시아식 개발방식의 타당성을

확인하게 되었고 이 새로운 시각으로써 고르바초프식 서구형 개혁 개방의 실패도 예언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고르바초프식 개혁은 정치적 자유화와 경제적 자유화를 동시에 추진하는 것이었고 이것은 서구가 좋아하고 부추긴 방법이기도 했다.

오버홀터씨는 한국의 성공사례와 이를 모방한 鄧小平의 중국 근대화 성공사례에서 세계사의 발전을 평가할 수 있는 눈을 떴다는 얘기이다.

오버홀터씨의 이 책은 중국에 관한 주요 저서로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朴正熙를 보는 시각의 교정을 통해서

이 세계를 보는 눈이 맑아져간 그의 과정은 기자의 경험과도 비슷하다


---------------------------------------------------

全斗煥 전 대통령을 독재자가 아니라고 하면 화를 낼 분들이 많을 것이다. 全斗煥을 쉽게 독재자라고 규정하면

화를 낼 사람은 적을지 모르지만 말이 안되는 구석이 생긴다. 독재자의 定義는 장기집권이다.

헌법을 마음대로 고쳐서 죽기까지 물러나지 않으면서 인권탄압을 자행하는 사람을 독재자라고 본다.
그런데 全 당시 대통령은 장기집권이 가능하던 헌법을 고쳐 대통령의 임기를 7년 단임으로 설정하고 그 약속을 지켰다.

그는 더구나 국민들이 대통령 직선제를 요구하자 이를 막으려 하다가 몰리게 되니 6.29 선언을 결단하여 이를 수용했다.

이것도 독재자가 할 일이 아니다. 누가 '6.29선언은 국민이 全당시 대통령의 항복을 받아낸 것'이라고 말한다면

이런 질문이 가능할 것이다. 국민한테 항복하는 사람을 독재자라고 부를 수 있는가.
全斗煥의 집권과정에는 유혈사태와 하극상과 위법이 있었다. 이 시기만 본다면 그는 독재자이다.

1980-88년의 5공화국 전체를 놓고 본다면 그는 유혈사태를 일으키고 독재자로 등장하였으나 국민들의 민주화 요구를 수용하여

민주적 개헌을 하고 평화롭게 정권을 이양한 사람이다. 이런 사람을 독재자라고 단정하려면 독재자에 대한 사전적 의미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 '전두환이 권위주의적 통치를 한 사람'이라고 한다면 그렇게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한 정치인의 한 시기를 잡아서 극단적인 말로써 단정해버리면 시원하기는 하겠지만 그것은 위험한 과장이다.

좀더 깊이 全斗煥 시대를 분석해본다.

*5공화국 관련 경제정보: 박정희 정권 마지막 해와 전두환 정권 마지막 해의 비교표

1. 1979 1인당 GNP: 1,546 달러
2. 1988 1인당 GNP: 3,728 달러
3. 1980년대 경제성장률: 연평균 10.1%로서 200여개 국가중 1
4. 1979년 수출 147억 달러, 수입 191억 달러, 경상수지 적자 415100만 달러.
5. 1988년 수출 600억 달러, 수입 525억 달러, 경상수지 흑자 138억 달러.
6. 1979년 국민저축률: 25%
7. 1988년 국민저축률: 34%
8. 1979년 도매 물가상승률: 20%, 1980년은 44%
9. 1983-87년 도매 물가상승률: 연평균 2.7%
10. 1988년 채권과 채무: 외채 320억 달러, 대외자산 253억 달러. 1989년에 순채무국으로 전환.
11. 전화대수: 1982 300만 대에서 1988 1000만 대 돌파.
12. 소득격차: 1980년에 지니계수 0.39, 88년엔 0.34축소(수치가 낮아지면 격차가 줄었다는 뜻임).

全斗煥 정권은 1980-88년 사이 세계 1위의 고도경제성장을 달성했다. 이 기간 국민소득은 2.3배로 늘었고 무역적자 구조는

무역흑자로 바뀌었다. 두 자리 수의 물가상승률은 2%대로 안정되었다. 외채도 크게 줄었고 국민저축률은 일본을 앞서는

세계최고 수준에 달했다. 1980년대 全斗煥 정부는 통신망 설치와 전자산업 육성을 국책사업으로 추진하여

1990년대의 세계적 인터넷-전자산업 강국을 예비했다.

이 경제성장으로 해서 한국사회에 중산층이 두껍게 등장했다. 1980년대 말 자신이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약70%가 되었다.

이들이 민주화의 주력부대가 되었다. 이들의 온건성향이 6.29선언으로 나타난 타협적 평화적 민주화의 엔진역할을 했다.
경제성장이 만든 쿳션이 한국사회의 바닥에 깔리는 바람에 민주화의 열풍을 견뎌냈다. 1985 2.12 총선으로 시작된 민주화의 혼란기에

경제성장률이 피크에 달했다. 경제호황기에 민주화 시위가 절정기를 맞았다는 것은 행운의 타이밍이었다.

全斗煥 대통령은 마이너스 경제성장률을 기록한 경제를 이어받아 성공적으로 이를 수습한 뒤 물가를 잡고 고도 성장과 흑자를 이룩했다.

全斗煥 대통령이 경제에 성공했다는 것을 부인할 사람은 없다. 정치는 상당부분 경제를 관리하는 기술이다.

경제에 성공했다는 것은 정치도 실패하지 않았다는 반증이다. 경제는 성공했는데 정치는 실패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공부는 잘했는데 시험은 잘못 쳤다는 말처럼 모순이다.

경제 성공의 공을 전두환 대통령이 아닌 金在益 경제수석한테 모두 돌리려는 사람들이 있으나 이는 잘못이다.

金在益씨를 잘 부린 사람이 全 전 대통령이었고, 金수석은 198310월에 아웅산 테러로 타계했기 때문이다.

이 경제성장은 평화적 민주화와 全대통령의 단임실천을 가능케 했다. 동시에 1988년의 서울올림픽을 뒷받침했다.

이런 호재로 安保면에서도 對北우위를 확보했다.

그에게는 물론 12.12사태, 광주민주화운동 유혈진압 등으로 집권한 과오와 비자금 모집의 과오가 있다.

이 때문에 그는 2년간 백담사 귀양, 2년간 수감생활을 했다. 이들 과오를 한쪽으로 놓고 그 반대편에 경제적 성공과 튼튼한 안보,

그리고 단임실천 및 6.29 민주화 선언(직선제 개헌이 핵심)을 놓으면 저울은 어디로 기울 것인가.

全斗煥 전 대통령을 독재자로 규정하려고 할 때 가장 큰 장애물이 되는 '선거를 통한 평화적 정권교체의 선례를 남긴 사람'이란

대목을 검토한다. 이것이 민주주의 발전에 대수롭지 않은 일인가, 아니면 대단한 일인가.

한 국가가 민주주의인가 독재인가를 가르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선거를 통해서 평화적 정권교체를 하고 있는가의 여부이다.

평화적 정권교체의 역사가 그 나라의 민주주의 성숙도 지표이다.

유럽에선 영국이 1688년의 명예혁명을 통해 평화적 정권교체의 전통을 확립했다. 미국은 1776년 건국시부터 이 전통을 지켜오고 있다.

프랑스는 1871년 普佛전쟁에 져서 나폴레옹 3세 황제가 쫓겨난 뒤 공화국이 출범하면서 정권교체기에 들어갔다.

독일과 일본은 1945년 패전 이후부터 선거를 통한 권력교체가 가능한 나라가 되었다. 스페인은 철권통치자 프랑코가 죽은 2년 뒤인

1977년부터 평화적 정권교체가 이뤄지고 있다. 舊소련과 동구권 나라들은 1989년경부터 이 시기로 들어갔다.

필리핀은 1986년 마르코스 추방 이후 그렇게 되었으나 아직도 불안해보인다.
한국은 1988년 全斗煥 퇴임으로부터 이 전통이 시작되었다.

이렇게 놓고본다면 민주주의의 발달사는 길지만 의외로 평화적 정권교체의 전통은 길지 않다는 걸 알 수 있다.

민주화의 과정에서 평화적 정권교체는 가장 마지막 단계에서 가능해진다는 의미이다. 17년밖에 되지 않는 한국의 평화적 정권교체 역사는,

민주주의의 기반이 충분히 다져졌다고 볼 수 없는 조건에서 장래에 대한 불안감을 주기도 한다.

북한은 아직도 정권교체의 꿈도 꿀 수 없는 곳이다. 정권교체는 옛날엔 전쟁이나 암살, 쿠데타를 통해서 이뤄지는 것이 정상이었다.

민주주의 시대엔 선거가 전쟁을 통해서 했던 일을 대신한다. 그만큼 선거는 치열해질 수밖에 없다.

아직 17년밖에 되지 않은 정권교체의 전통을 국민 모두가 소중히 가꿔나가야겠다.

동시에 全斗煥 정권이 만든 이 평화적 정권교체의 선례에 대한 정당한 평가가 있어야 할 것이다.


---------------------------------------

한국에서 민주화를 요구하면서 투쟁하는 데 앞장섰던 金泳三 金大中 두 사람은 그 공으로 대통령이 됨으로써 역사의 보상을 받았다.

金泳三씨는 盧武鉉변호사를 정치인으로, 金大中씨는 盧씨를 대통령으로 만드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이 세 사람은 그렇다면 민주주의자인가. 全斗煥씨를 한 마디로 독재자라고 부르기가 힘든 것 이상으로 이 세 사람을 민주주의자라고

부르기 어렵게 하는 사건들이 이 세 사람들의 집권기간에 많이 일어났다. 이 세 사람이 민주화운동가였던 것은 사실이고 민주화에 일정한

기여를 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민주주의를 위해서 싸운 사람이 자동적으로 민주주의를 실천하는 것은 아니다.
이 세 사람은 한국의 현대사를 부정하고 前 정권의 정통성을 인정하지 않을 뿐 아니라

헌법정신을 훼손하거나 짓밟았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세 사람은 정치자금과 친인척 관리에서 부정을 저지른 점에서도 공통점이 있다. 이 세 사람은 대한민국의 主敵인 김정일 정권에 대해

굴종하거나 애매한 태도를 취한 공통점이 있다. 이 세 사람은 국민통합이 아닌 국민분열적 정책을 쓴 점에서도 공통점이 있다.

이 세 사람은 한국의 경제를 위기에 빠뜨린 점에서도 공통점이 있다.

이 세 사람의 가장 反민주적 요소는 법치를 발전시키지 못하고 후퇴시킨 점이다.

선거를 통해서 정권을 선택하는 선거민주주의가 정착된 뒤엔 법치주의를 발전시켜가야 민주주의가 성숙한다.

이 성숙단계에서 세 대통령은 제왕적 대통령의 권한을 남용하여 헌법과 법률을 무시함으로써 민주주의의 발전을 저해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안기부 예산을 1000억원이나 빼내 선거자금으로 쓰는 불법행위를 자행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국민들을 속이고 김정일 정권에게 5억 달러를 불법으로 보내주는 반역적 이적행위를 주도했다.

노무현 대통령은 헌법위반으로 판명된 遷都를 행정수도이전이라고 속이면서 강행하려다가 헌법재판소의 견제를 받았다.


대통령이 헌법과 법률을 위반하는 모범을 보인다면, 더구나 1950년대나 1970년대가 아니라 선거민주주의가 정착해가는 21세기에

그런 행태를 보인다면 이런 사람을 민주주의자라고 부를 수는 없다. 민주주의가 없었던 시절의 세종대왕 보고 왜 직선제로

왕이 되지 않았느냐고 비판하는 것은 말이 안되지만 자유민주주의를 할 수 있는 모든 물질적, 제도적 조건이

완비된 21세기에 법치를 무시하는 대통령은 독재자라고 불려도 말이 된다.

국민들로부터 약25조원의 돈을 가져가서, 이를 가난하고 소외된 국민들에게 주는 것이 아니라 우리를 죽이겠다고 칼을 갈고 있는

敵에게 갖다바치려는 盧정권이 민주정권이라면 소매치기도 민주정부를 만들 수 있다. 국회나 국민의 동의없이 국민 재산을

250억 달러나 가져갈 수 있는 정권은 영장 없이 250명을 구속하는 정권과 똑 같은 독재적 정권이다.

위에서 본 것처럼 한국의 민주주의는 이승만 대통령부터 노태우 대통령 시절까지는 그래도 착실히 발전해왔다.

李대통령은 민주주의 체제로 독립국가를 만들었다. 朴대통령은 민주국가로서 작동할 수 있는 엔진과 날개를 달아주었다.

全대통령은 민주주의 발달과정의 마지막 단계인 평화적 정권교체의 선례를 남겼다.

盧泰愚대통령은 물태우라는 욕을 먹으면서도 권력의 남용을 억제하고 민주화를 실천했다.


문제는 민주투사들이 대통령이 된 뒤로부터 한국의 민주주의가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세 대통령은 당파, 家臣, 지역패거리, 그리고 386 주사파 출신들에 둘러싸여 국가전체를 바라보지 못하고

집단이기주의적인 행동을 하다가 보니 국민들을 분열시키고 역사를 분열시키고 드디어는 자신의 정신상태를 분열시켰다.

이 세 대통령이 민주주의의 발전에 의외로 기여한 바가 적은 것은 애국심이 없거나 약하기 때문일 것이다.

애국심이 있어야 국민통합을 꾀하고 헌법을 소중하게 여기는데 그것이 없으니 反민주의 길을 걷고만 것이다.
민주국가에서도 애국심은 중요하다. 애국심은 지나간 역사를 긍정할 때만 우러난다.

이 세 대통령의 특징인 유아독존식의 부정적 역사관이야말로

이들이 민주주의 지도자로 행동하는 것을 막은 가장 큰 장애물이었다.

조갑제닷컴

 

[젊고 강한 신문-독립신문/independent.co.kr]

 

항상 건강(健强) 하시고 좋은일만 있으시길 바랍니다!

I wish you have a healthy and happy day!

Morningsuncafe.net - 운영자, CK Yu

 

  제목: 우리나라의 민주주의 역사는

2012 Copyright   CK Yu 카페 Blog